메뉴 건너뛰기

배경이미지

709. 미국 교회 다니는 어느 분의 질문을 받고 - 목회자코너 - 루이빌새한장로교회

조회 수 1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709. 미국 교회 다니는 어느 분의 질문을 받고


요즈음 수요일 오전 사역자 모임에서 책 한 권 (John Maxwell, The 21 Most Powerful Minutes in a

Leader’s Day, Nashville: Thomas Nelson, 2000)을 읽으며 나누는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책

한 부분에서 “관계를 맺는 법칙”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리더는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을 때까지

리더가 아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153쪽). 이 말을 크리스천들에게 적용해 보았습니다. ‘크리스천은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을 때까지 크리스천이 아니다.”


크리스천은 관계 속에서 크리스천다움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교회를 ‘크리스천들의 모임’

이라고 합니다. 서로 가족(멤버)입니다. 그리고 교회를 예수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부릅니다. 몸은

각 신체 부분들이 서로 연결되어 서로에게 의존되어 있습니다. 의존하지 않으면 서로 죽습니다.

그래서 그리스도인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더 이상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갈 수 없습니다.


미국 교회 다니시는 어느 분이 저에게 일러주더군요. 한국 교회 분들은 멤버 의식(가족 의식)이

부족한 것 같다는 겁니다. 왜 그런가 물었더니, 교회를 너무 쉽게 옮긴다는 것입니다. 그 분들의

눈에 보기에 그 것이 크리스천다운 멤버 의식(가족 의식)이 부족하게 보인 것 같습니다. 교회

다니는 것이 종교행사로 되어 버려서 이 행사장 저 행사장 구경하듯 하는 종교인이 되었다는

뜻도 있을 겁니다.


가족은 형제 자매 중 좀 맘이 안 맞고 보기 싫은 사람이 있어도 다른 집으로 옮기지 않습니다.

그 자리에서 관계를 개선하고 다시 끈끈한 가족 관계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끈끈한 가족

관계로 연결하려면 몇 가지 점검을 해보아야 합니다.


첫째, 이웃을 생각하는가? 자신의 탤런트, 능력, 성공 등등을 자신만을 위하여 사용하지 말고

이웃을 위하여 사용합니다. 둘째, 성장의 기회로 삼는가? 이웃에게 겸손하게 배우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셋째, 베푸는 사람인가? 좋은 관계를 맺으려면 모아두지 말고 강물처럼 흘러

보내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넷째, 감동을 주는 삶을 사는가? 고대 중동에서 전해져 오는 말이

있습니다. “당신이 태어날 때 당신은 울었다. 그리고 세상은 즐거워했다.” 우리도 살다가 죽을

때가 옵니다. 어떻게 살았느냐에 따라서 나의 죽음으로 세상은 울고, 나는 즐거워할 것입니다.


그 것은 전적으로 당신이 사는 동안 주님 앞에서 어떻게 관계를 맺으며 살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예수님 몸에 꼭 붙어서 위 네 가지를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김목사


  1. 709. 미국 교회 다니는 어느 분의 질문을 받고

    Date2019.04.27 By이충만 Views129
    Read More
  2. 708. 아내가 자랑스럽습니다

    Date2019.04.20 By이충만 Views111
    Read More
  3. 707. “살고 있는 만큼 아는 것이다”

    Date2019.04.18 By이충만 Views120
    Read More
  4. 706. 감사하고 만족할 줄 아는 사람

    Date2019.04.06 By이충만 Views265
    Read More
  5. 705. 구원과 섬김의 관계

    Date2019.03.30 By이충만 Views174
    Read More
  6. 704. 참된 예배 어떻게 가능한가?

    Date2019.03.23 By이충만 Views156
    Read More
  7. 703. 누구나 가지고 있는 ‘견고한 진’

    Date2019.03.17 By이충만 Views238
    Read More
  8. 702. 이럴 때, 이런 말도 생각해 보자

    Date2019.03.09 By이충만 Views121
    Read More
  9. 700. 입이 싼 사람, 귀가 여린 사람

    Date2019.02.23 By이충만 Views244
    Read More
  10. 699. 딱 좋은 나이

    Date2019.02.09 By이충만 Views120
    Read More
  11. 698. “자연스런 영성, 생활화된 헌신”을 읽고

    Date2019.02.04 By이충만 Views110
    Read More
  12. 697. 무시와 부주의의 위험성

    Date2019.01.28 By이충만 Views127
    Read More
  13. 696. 끝까지 순종하고 충성하는 믿음

    Date2019.01.19 By이충만 Views124
    Read More
  14. 695. “편안함을 추구하는 죄”

    Date2019.01.16 By이충만 Views145
    Read More
  15. 694. 미루고 싶은 마음, 서두르고 싶은 마음

    Date2019.01.16 By이충만 Views99
    Read More
  16. 693. 한 해를 보내고 맞이하며

    Date2019.01.16 By이충만 Views120
    Read More
  17. 692. 해산의 수고

    Date2018.12.22 By이충만 Views94
    Read More
  18. 691. 나의 간절한 소원

    Date2018.12.15 By이충만 Views91
    Read More
  19. 690 ‘교제하는’ 기도와 ‘구하는’ 기도의 균형

    Date2018.12.09 By이충만 Views174
    Read More
  20. 689. 예수께서 친히 받으셨던 그 세례

    Date2018.12.09 By이충만 Views7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30 Next
/ 30